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위기를 넘어 혁신으로" 최종현 SK 선대회장 경영철학, 27년 만에 되살아나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SK그룹 역시 반도체·배터리·에너지 사업에서 거센 도전에 직면한 가운데, 위기를 넘어 혁신을 꾀한 고(故) 최종현 SK 선대회장의 경영 기록이 유고 27년 만에 세상에 나온다.
1970~1990년대 한국 경제 도약의 주역이었던 그의 경영 활동이 디지털 기록물로 복원되며, 기업 경영의 지혜를 되새길 중요한 사료로 남게 됐다.



2일 SK는 그룹 수장고에 장기간 보관해 온 최 선대회장의 경영철학과 기업활동 관련 자료를 발굴·디지털로 변환·영구 보존·활용하는 ‘디지털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지난달 말 완료했다고 밝혔다.
SK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자료를 그룹 고유의 철학과 수펙스추구 문화 확산 등을 위해 활용할 방침이다.


최 선대회장은 사업 실적·계획 보고, 구성원과 간담회, 각종 회의와 행사 등을 녹음해 원본으로 남겼다.
이를 통해 그룹의 경영 철학과 기법을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기업 경영의 수준을 높이고자 했다.
이 같은 방침은 ‘SK 고유의 기록 문화’로 계승됐다.


이번에 복원한 자료는 오디오·비디오 형태로 약 5300건, 문서 3500여 건, 사진 4800여 건 등 총 1만 7620건, 13만 1647점이다.
최 선대회장의 음성 녹취만 오디오 테이프 3530개에 달한다.
이는 하루 8시간을 연속으로 들어도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만큼 상당한 분량이다.


최 선대회장의 생생한 육성 녹음을 통해 당시 경제 상황과 한국 기업인들의 사업보국에 대한 의지, 크고 작은 위기를 돌파해 온 선대 경영인의 혜안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최 선대회장은 1982년 신입 구성원과의 대화를 통해 “땅덩어리가 넓은 미국에서도 인재라면 외국 사람도 쓰는 마당에 한국이라는 좁은 땅덩어리에 지연, 학연, 파벌을 형성하면 안 된다”라며, 한국의 관계 지상주의를 깨자고 임기 내내 여러 차례 강조한다.


1992년 임원들과 간담회에서는 “연구개발(R&D)을 하는 직원도 시장 관리부터 마케팅까지 해보며, 돈이 모이는 곳, 고객이 찾는 기술을 알아야 R&D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라 실질적인 연구를 주문한다.


같은 해 SKC 임원들과 회의에서는 “플로피디스크(필름 소재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팔면 1달러지만, 그 안에 소프트웨어를 담으면 가치가 20배가 된다”라며 우리나라 산업이 하드웨어 제조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1990년대 중반 유럽 한 국가의 왕세자 면담을 위해 준비한 보고서에는 앞으로 기후 위기가 심각한 국제문제가 된다며 법정 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환경기준을 맞추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는 제안이 담겨있다.


SK의 성장 과정도 최 선대회장의 목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계 경제 위기를 몰고 온 1970년대 1, 2차 석유파동 당시 정부의 요청에 따라 최 선대회장이 중동의 고위 관계자를 만나 석유 공급에 대한 담판을 짓는 내용, 1992년 이동통신사업권을 반납할 때 좌절하는 구성원들을 격려하는 상황 등이 음성 녹취에 담겨있다.


SK 관계자는 “최 선대회장의 경영 기록은 한국 역동기를 이끈 기업가들의 고민과 철학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보물과 같은 자료”라며, “양이 매우 많고 오래되어 복원이 쉽지 않았지만, 첨단기술 등을 통해 품질을 크게 향상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40209100593336_1743552605.jpg
  • newhub_2025040209102693339_1743552626.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