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첫 국제연구소 3년간 이끌어
우주론·중력 분야서 세계적 명성
홈볼트 연구상·이휘소상 등 수상도
“다양한 분야 첨단연구 융합” 강조
![]() |
임기는 3년이다.
APCTP 199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회의를 계기로 설립된 우리나라 첫 국제연구소로 에이펙 기초과학센터 인준 기관이다.
아태지역 이론 물리 및 기초과학 분야에 학술 공동연구와 국제협력, 과학커뮤니케이션 등 활동을 하고 있다.
사사키 신임 소장은 우주론 및 중력 이론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일본 교토대에서 학사부터 박사까지 마친 후 일본 히로시마대·교토대·오사카대 등의 교수를 거쳤다.
그는 우주의 구조 형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한 ‘사사키-무카한 변수’를 개발해 현대 우주론 연구의 핵심 기반을 마련했다.
사사키 소장은 이런 업적을 인정받아 2008년 독일 알렉산더 본 훔볼트 재단이 매년 세계적 연구 업적을 남긴 연구자에게 주는 훔볼트 연구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일본·영국 간 우수한 공동연구를 한 연구팀에게 수여하는 다이와 아드리안 상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이론물리학 분야에서 노벨상급 연구성과를 이룬 과학자에게 APCTP가 수여하는 이휘소 상을 받은 바 있다.
사사키 소장은 “이론물리는 다른 학문과 연결되어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학문”이라며 “다양한 분야의 첨단 연구에 있어 이론물리와의 융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APCTP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연구자들의 유기적 협력과 다양한 학문 분야 융합의 모범적인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APCTP는 이사장을 포함해 다수 이사를 교체하는 내부 거버넌스 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새 이사장에는 김두철 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이 선임됐다.
앞서 아태이론물리센터는 전임 소장의 갑질 논란 및 이사회 사유화 문제 등이 제기됐다.
APCT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19개 회원국, 35개의 협정기관과 협력해 설립 후 지금까지 300여명의 신진연구자를 유치·양성해 왔다.
올해는 경주에서 열리는 에이펙 정상회의에 맞춰 기초과학 분야의 국제포럼과 대중강연 등의 연계 행사를 개최한다는 계획이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