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韓 기업들 기회 잡자"…코트라, 中 산업전략 분석한다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올해 중국의 정책 변화에 따라 우리 기업들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경제·산업 동향을 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3일 '2025년 양회로 알아보는 중국 경제·산업 및 과학기술정책 동향'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이 주최하는 '차이나 네비게이터 시리즈(China Navigator Series)'의 올해 첫 행사로, 중국 양회에서 발표된 주요 경제·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을 분석하고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국 정부는 올해 양회에서 내수 촉진과 기술 혁신을 통한 성장 전략을 핵심 과제로 내세우고, 적극적인 재정 정책과 미래·신흥산업 육성을 통한 '신질생산력' 발전을 강조했다.
이번 웨비나는 중국의 거시경제 정책 변화를 집중 분석하고,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에 중점을 뒀다.


경제정책 설명 세션에선 중국 사회과학원 거시경제연구실의 탕둬둬 주임이 발표를 진행한다.
탕 주임은 "중국 정부는 경제성장률 5% 안팎을 유지하며, 경기 둔화를 방어하기 위해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올해 중국 정부의 초장기 특별국채(1조3000억위안)와 특별국채(5000억위안)를 활용한 인프라 투자와 소비 진작 추진 계획을 소개할 예정이다.


김재덕 산업연구원 북경지원장은 '자립자강(自立自强)' 기조를 앞세운 중국의 전략 신흥산업 육성과 산업 고도화 방향에 관해 설명한다.
김 지원장은 "상업용 항공, 저고도 경제, 바이오 제조, 양자기술, 체화지능(EI), 인공지능(AI), 스마트 로봇 등 전략적 기술 분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R&D) 지원이 확대되고 민·관 협력 프로젝트도 활발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재원 코트라 중국지역본부장은 "중국의 정책 변화는 한국 기업들의 대중국 전략 수립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며 "우리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데 이번 웨비나가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2814410688354_1743140466.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