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는 LG화학이 테네시 상공회의소가 주최하는 정책 포럼에 참가한다.
LG화학은 이날 포럼에서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보조금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올해 첫 사장단 회의에서 '선택과 집중'을 강조한 직후의 행보로, 양극재 사업 투자 계획을 지속하겠다는 LG화학의 의지가 엿보인다.
LG화학은 28일(현지 시각)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리는 '테네시 제조업 포럼'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테네시 제조업의 성장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기업, 정부, 학계 이해 관계자들이 모여 테네시주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성장 정책과 정부의 역할 등에 대해서 폭넓게 논의하는 자리다.

LG화학에서는 최고지속가능전략책임자(CSSO)인 고윤주 전무가 한국 기업 중 유일한 패널로 참석한다.
고 전무는 엘렌 보든 테네시주 경제개발부 부장관을 비롯해 미국화학협회, 테네시 주립대 측 주요 패널들과 함께 미국 내 첨단산업 발전과 소재 공급망 강화 등을 주제로 하는 정책 토론에 참여한다.
고 전무는 이번 포럼에서 LG화학의 테네시 양극재 공장이 향후 미국이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내재화하는 핵심적인 생산기지가 될 것임을 강조할 계획이다.
LG화학은 현재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확보한 170만㎡ 부지에 1단계로 약 2조원을 투자해 연간 6만t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테네시 공장은 2026년 가동을 목표로 매년 고성능 순수 전기차 약 60만대분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갖춰 미국 내 최대 규모 양극재 공장이 될 전망이다.
고 전무는 "미국이 배터리 소재와 같은 첨단 산업의 공급망을 강화하려면 외국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연방정부의 보조금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테네시주의 풍부한 제조업 인프라가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결합한다면, 미국 시장에서 LG화학의 혁신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