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2028년까지 미국에 총 210억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한국 산업의 공동화가 우려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6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현대차의 미국 투자 계획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관세에 대응해 미국에서 공급망을 만드는 것은 매출 최대 국가인 미국 시장을 지키는 한편 한국 내 산업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계기로 미국 생산량을 늘리면 한국 생산 대수는 현재의 20%에 상당하는 연간 70~90만 대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한국 산업연구원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공장 증설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며 루이지애나주에는 제철소도 건설할 방침이다.
닛케이는 미국 관세 정책에 맞춰 공급망을 단기간에 미국으로 옮기기가 쉽지는 않다면서 관세 인상에 따라 미국 내 제조업 관련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건설하는 전기로에서 철을 만들 때 원료가 되는 철스크랩 가격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17% 올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철스크랩 가격 상승은 철강업체에 타격이 된다"며 미국 철강 기업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닛케이는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그룹의 거액 투자를 환영하면서도 한국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이어 "세계 경제를 지탱해 온 자유무역 체제에서는 세계의 자원이 효율적으로 분배되고 가장 좋은 장소에 조달·생산 체제가 구축됐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는 이러한 공급망을 파괴하고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인다"고 비판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