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삼성전자, XR 헤드셋 '무한' 내년 출시…애플·메타에 도전장(종합)

삼성전자가 내년 출시 예정인 확장현실(XR) 헤드셋 기기 ‘프로젝트 무한’을 최초 공개했다.
기기에는 구글, 퀄컴과 협업해 만든 XR 플랫폼이 처음으로 탑재된다.
사용자는 헤드셋을 낀 상태로 구글의 인공지능(AI)인 ‘제미나이’와 대화를 통해 정보를 탐색하는 등 색다른 경험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과 구글이 XR 헤드셋을 공개한 만큼 이미 시장에 제품을 내놓은 애플, 메타 등과 본격적인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newhub_2024121308170850270_1734045428.jpg

삼성전자는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구글 캠퍼스에서 열린 ‘XR 언락’ 행사에서 XR 기기 ‘프로젝트 무한(이하 무한)’을 처음으로 소개했다.
행사는 삼성전자, 구글, 퀄컴이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XR은 사용자가 시각, 청각, 움직임 등의 감각을 활용해 현실과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무한은 2025년 출시 예정으로, 이름 그대로 물리적 한계를 초월한 공간에서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무한은 기기를 착용하는 중에도 외부 현실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패스스루’ 기능과 사용자와의 자연스러운 인식을 위한 멀티모달 센서를 탑재했다.


이날 행사에선 무한에 최초 탑재되는 ‘안드로이드 XR’ 플랫폼도 함께 공개됐다.
삼성전자, 구글, 퀄컴이 개방형 협업을 통해 공동 개발한 플랫폼으로 멀티모달 AI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외부·가상현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글 제미나이를 통해 대화 방식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응답을 주고받을 수 있어 AI 에이전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안드로이드 XR은 기존 안드로이드, 오픈 XR, 가상현실(VR) 및 모바일 증강현실(AR) 커뮤니티와 개방형 협업을 통해 확장성을 강화했다.
서드파티 앱·서비스 콘텐츠를 확보해 플랫폼 규모는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무한 이후에 나올 헤드셋, 글래스 등 다양한 폼팩터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newhub_2024121308204750274_1734045647.jpg

행사에서 연사로 나선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부사장)은 "XR은 주변 현실과 가상 세계를 넘나들며 물리적 제약없이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새로운 차원을 열어줄 것"이라며 "최첨단 XR 기술과 사용 맥락을 이해하는 멀티모달 AI의 결합으로 새로운 폼팩터 혁신을 위한 완벽한 조건이 갖춰졌다"고 했다.
이어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은 뛰어난 확장성과 함께 다양한 폼팩터에 적용될 수 있는 강점이 있다"며 "확장되는 에코시스템과 폭넓은 콘텐츠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더욱 풍요로운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기환 삼성전자 이머시브 솔루션 개발팀 부사장도 "플랫폼 구축을 위해 세 가지 핵심 가치에 중점을 뒀다"며 "무한한 시각적 콘텐츠를 통한 몰입감 넘치는 경험, 시청각 및 움직임을 활용한 상호작용, 개방형 협업을 추구하는 플랫폼을 실현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지아드 아즈가 퀄컴 XR 및 공간 컴퓨팅 수석 부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프로젝트 무한’을 위해 ‘스냅드래곤 XR2플러스 2세대’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newhub_2024121309233650422_1734049417.jpg

삼성전자가 출사표를 던지면서 XR 시장은 애플, 메타, 삼성전자 3파전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애플은 올해 초 자사의 XR 운영체제 '비전 OS'를 탑재한 '비전 프로'를 출시했다.
메타는 지난 10월 출시한 보급형 기기 '메타퀘스트 3S'를 비롯해 메타퀘스트 3, 메타퀘스트 2 등을 출시했다.
‘무한’의 가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삼성전자는 XR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를 볼 것으로 예측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비전 프로의 가격보다는 낮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됐다.
애플 비전프로 가격은 499만원부터, 메타의 '메타퀘스트 3'은 72만9000원부터 시작한다.


글로벌 조사업체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XR 시장은 지난해 1315억4000만달러(한화 약 188조5000억원)로 평가됐으며 2032년에는 1조7069억6000만달러(한화 약 2446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4121308170850270_1734045428.jpg
  • newhub_2024121308204750274_1734045647.jpg
  • newhub_2024121309233650422_1734049417.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