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키로 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연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9일 미 정부로부터 H20 칩을 중국 수출 시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또 14일에는 이 규제가 무기한 적용될 것이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전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H20 칩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거나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미 정부가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
엔비디아는 중국 '딥시크' 충격 이후 중국 수출에 대한 규제 목소리가 높아지자 향후 4년 간 최대 500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에서 AI 하드웨어를 생산하겠다고 밝혔으나 H20 수출 규제를 피하지 못했다.
H20은 중국 딥시크의 AI 모델 학습에 사용한 칩 중 하나로 알려졌다.
올해 1분기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은 160억 달러(22조 8000억원) 이상의 H20 칩을 주문하는 등 수요가 높다.
엔비디아는 이번 수출 제한 조치로 중국 사업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회계연도 1분기(2~4월)에 55억 달러(7조 8567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재고, 구매 약정, 관련 충당금 등에 따른 비용이다.
이번 규제로 H20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국내 메모리 회사들에도 영향이 예상된다.
현재 H20에 들어가는 5세대 HBM(HBM3E) 8단 제품의 메인 공급 업체는 SK하이닉스다.
삼성전자도 지난해 하반기 납품했던 경험이 있으나 품질 이슈 등으로 현재는 공급이 중단됐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국 수출 제한으로 AI 칩 시장 전반이 위축될 수 있다"며 "HBM 수요 감소와 메모리 단가 하락 등 연쇄적인 영향으로 수익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향후 미·중 기술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은 지역화가 가속화되며 국내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 역시 중요해질 것"이라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도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봤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하락 중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6분 기준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3.10% 내린 17만5000원에,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2.47% 하락한 5만5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6% 급락했다.
반도체주 전반의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마이크론(-3.3%), 브로드컴(-3.4%) 등도 시간 외 거래에서 일제히 내렸다.
아주경제=이효정 기자 hyo@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