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의 올 1분기 아이폰 출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새 관세 조치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한 결과로 풀이된다.
14일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1~3월 5790만대의 아이폰을 출하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5260만대보다 10% 늘어난 수치다.
이는 중국산 제품에 매겨질 관세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한 결과라고 IDC는 분석했다.
이어 "공급 급증은 비용 상승과 공급망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실제 소비자 수요를 기반으로 한 예상치보다 1분기 출하량이 부풀려졌다"고 봤다.
애플이 출하량을 늘리면서 1분기 점유율도 17.5%에서 19.0%로 뛰었다.
1분기 606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1위(19.9%)를 차지한 삼성전자와 거리를 바짝 좁힌 것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1분기보다 출하량이 0.6%만 늘었다.
중국 샤오미의 출하량은 2.5% 늘었고, 중국 오포는 6.8% 줄어들었다.
출하량은 미국 외 지역에서도 늘어났다.
IDC는 이 또한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아이폰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3억490만대로 1년 전 3억30만대보다 1.5% 늘었다.
아주경제=이효정 기자 hyo@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