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고가 소비재 비중이 높은 백화점을 중심으로 실적 회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
뉴스1 자료사진 |
이는 지난해 12월(88.2)보다 5.2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당시 비상계엄 선포 이후 급랭했던 소비심리가 점차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해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0.7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었지만, 비상계엄 선포 직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폭되며 12월에는 한 달 만에 12.5포인트나 급락했다.
이후 국회의 탄핵안 가결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등 일련의 정치 일정이 진행되며,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소비심리 회복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대선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반복됐다.
2012년 12월 18대 대선 당시 소비자심리지수는 98.2였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 취임한 2013년 3월에는 104.2로 상승하며 3개월 만에 6포인트 오르는 회복세를 보였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이 진행 중이던 2017년 2월 지수는 94.4였지만, 탄핵이 인용된 3월에는 97로 2.6포인트 상승했다.
이후 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선된 5월을 지나 6월에는 112.6까지 치솟았다.
이 같은 흐름에 비춰볼 때, 이번 6월 대선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려 소비심리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정부가 내놓을 민생 안정 대책 및 경기 부양책이 소비 촉진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에서는 소비심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백화점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가 패션, 화장품, 명품 등 사치성 소비재 매출 비중이 높은 백화점은 소비 여력이 살아나는 순간 실적 개선이 빠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반면, 대형마트와 편의점 업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마트의 경우 온라인 쇼핑과의 경쟁이 실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편의점은 점포 수 증가 등 물리적 확장성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커, 소비심리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대외 리스크를 고려한 신중론도 제기된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갖고 있어, 해외발 경기 둔화가 내수 소비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기조가 부활 조짐을 보이며 글로벌 경기 불안이 커지고 있다.
미국이 지난 9일 일부 관세 부과 유예 방침을 밝히긴 했지만, 국제 정세가 여전히 불확실한 만큼, 소비심리 회복세가 본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