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9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인공지능(AI) 기술혁신 시대에 중소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기업, 전문가와 함께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AI와 제조데이터 표준을 활용한 제조혁신과 중소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계, 학계 전문가와 정책방향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김주미 수석 연구위원은 중기부의 AI 솔루션 실증 지원사업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조 중소기업의 인공지능 활용실태에 대해 발표했다.
김 수석 연구위원은 "글로벌 제조기업들은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 인공지능을 활발히 활용하고 있지만, 국내 중소 제조기업은 여전히 제품 생산 가치사슬의 일부 영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며 "중소 제조기업의 전후방 가치사슬 전반으로 인공지능 적용을 확대하고 적용 분야 역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연구원의 이상현 디지털·AI 전환생태계 연구실장은 "스마트제조산업을 구성하는 분야가 품목·서비스별로 다양하므로 업종특성에 맞는 전문기업 지정요건을 수립하는 한편, 전문기업이 자발적으로 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유인 체계 마련이 필수"라고 했다.
학계 전문가들은 한국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제조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을 끌어내기에 적합한 환경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중소 제조기업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 부족하고, 중소 제조현장에서 활동할 인공지능 인재를 구하기 쉽지 않으며, 영업비밀 유출 우려, 데이터 표준 미비 등으로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한 제조데이터의 공개를 기피하는 관행 등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지정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회의에 참석한 로봇 등 자동화기기, 정보화 솔루션, 지능화 서비스 분야를 대표하는 기업들은, 인공지능 기술 혁신 시대에 유망 성장 분야인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육성은 시기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업종별 특성이 잘 반영되는 공급기업 역량진단 체계와 전문기업 지정기준이 마련될 것과 선정 기준에 미흡한 기업에 대해서도 성장 사다리 정책이 마련되길 희망하였다.
권순재 중기부 제조혁신과장은 "중기부는 중소기업, 학계와 협력해 중소제조업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한국 스마트제조산업 생태계의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