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행정혁신의 시작… 부산형 지능행정으로 미래를 연다

부산시가 인공지능(AI) 혁신을 통한 AI 생태계 활성화로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부산시는 지난해 수립한 ‘부산시 인공지능 행정혁신 추진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AI 기술을 행정에 적극 활용한다고 8일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왼쪽)과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부산시 지능행정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시는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련한 ‘부산 AI 종합전략’을 토대로 내부행정 업무에 생성형 AI 서비스를 도입해 공무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시민의 정책 수요에 속도감 있게 대응할 수 있는 행정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방대한 행정자료의 종합적 분석이 어려운 행정 현실을 감안해 양질의 대내외 자료를 통합·연계해 정책 환경의 분석, 진단, 예측 과정을 지원하고, AI 시대 데이터의 융합을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해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도록 설계·구축할 예정이다.


또 AI 서비스 활용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 공무원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도 병행한다.
공무원이 실무에서 AI 서비스를 적재적소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초급부터 중급까지 단계별 교육을 통해 내년 1월부터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20명 내외의 자발적인 희망자를 중심으로 AI 학습모임(MEET AI)을 구성하고, 전폭적인 학습지원을 통해 공직사회 AI 혁신리더를 양성한다.
시민 체감형 AI 사업 발굴과 단순·반복 업무의 업무 처리 자동화 프로그램(RPA) 도입 및 직원 대상 AI 아이디어 공모전도 개최한다.

지난달 광역시 최초로 ‘공무원 생성형 AI 활용 윤리지침’을 제정한 부산시는 공무원이 AI를 효과적이면서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날 시청에서 네이버클라우드㈜와 ‘부산형 지능행정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체결로 시는 정책·행정적 지원을 비롯한 행정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술 지원과 솔루션 개발 및 지역 업체와 협업을 추진한다.
공공분야 AI 행정혁신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과제를 지속 발굴 및 사업화를 통해 정책 분야별 고도화된 인공지능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산시킨다는 전략이다.


박형준 시장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정책에 부응하고, 부산 AI 종합전략의 실현을 위해 부산형 AI 서비스를 속도감 있게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408511282.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