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어차피 대선은 이재명”이라는 이른바 ‘어대명’ 구도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고, 완전 개방형 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과 정치·헌법 개혁을 골자로 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의원은 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광주는 한국 민주주의의 본산”이라며 “어제 대선 출마 선언 후 가장 먼저 오월 영령들에게 인사드리러 왔다”고 밝혔다.

이어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어대명 경선으로는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장담할 수 없다”며 “정권을 교체하더라도 시대적 과제인 국민통합과 개헌이 실현될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범진보·개혁 세력이 완전 개방형 경선을 통해 본선 경쟁력을 키우고 압도적으로 승리해야, 내란 세력을 확실히 진압하고 민주공화국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을 “패권 정치의 거대한 벽 앞에 선 작은 다윗”이라고 표현하며 “조롱 속에서도 소신을 지켜온 지난 2년의 시간을 바탕으로, 극단적 대결 정치를 무너뜨리고 연합 정치·연합 정권·분권 개헌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이번 대선을 “제7공화국을 여는 정치혁명의 기회”로 규정했다.
그는 “이번 대선은 불순한 세력이 다시는 민주공화국의 가치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헌법을 개정할 절호의 기회”라며 “실질적인 주권재민, 국민 권력 정부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제왕적 대통령제와 단원제 국회의 권력을 분산하고, 중앙정부의 권한과 재정을 지방정부에 대폭 이양해 “연방제 수준의 자치분권 국가”로 전환하겠다고 제안했다.
또 제1당의 입법권 남용을 제약해 입법권의 균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도 했다.
김 전 의원은 “국민통합과 정치개혁은 허공을 떠도는 말이 됐다”며 “이제는 당과 정파의 기득권을 뛰어넘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이 계엄을 선포한 그 시각, 나는 여의도 국회 앞으로 달려가며 1980년 계엄군에 맞섰던 광주시민의 용기를 떠올렸다”면서 “오늘 광주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정치혁명의 대장정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송보현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