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명시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감축한다.
이를 위해 시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광명시는 최근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최종 수립했다고 8일 밝혔다.
이 계획은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시는 2018년부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기후에너지과 신설, 탄소중립센터 설립 등 체계적 기반을 마련하고 민관 협력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양적·질적으로 성장시켜 왔다"면서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시는 지난 2023년 8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했으며, 한국환경공단 컨설팅과 이번 위원회 심의를 거쳐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계획에 따르면 시는 2030년까지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134만t의 40%에 해당하는 44만t을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총 150개 세부 이행과제를 설정했다.

온실가스 감축 대책의 경우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대 및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 ▲전기차·수소차 보급 지원 등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전환 ▲스마트팜 등 도심 속 친환경 영농환경 조성 ▲폐기물 발생 원천 감량 ▲정원 조성 등 다양한 공간의 탄소흡수원 확충 등 5개 부문 106개 이행과제를 도출했다.
기후위기 대응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기후위기 적응력 강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공유재산의 기후위기 대응 ▲국내외 지자체 간 협력 ▲탄소중립 교육·소통 ▲녹색투자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환경 조성 등 녹색성장 촉진 ▲청정에너지 전환 촉진 ▲취약계층·직업군 지역사회 적응 능력 향상 ▲시민 활동가 등 녹색성장 인력 양성 등 8개 부문에 대해 44개 이행과제를 도출했다.
특히 시는 기본계획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각 과제를 온실가스 저감량 등 정량적 수치로 관리할 방침이다.
명확한 수치로 목표 달성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해 정책의 효과성을 정확히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교육·소통, 시민참여 등 정성적 과제들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표를 마련해 정상 추진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기본계획 추진을 위해 담당 부서는 분기별로 과제 이행을 점검하는 한편 정순욱 부시장을 탄소중립 이행책임관으로 한 '탄소중립추진단'이 반기별로 이행점검에 나선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