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형이 확정된 홍남표 전 경남 창원특례시장이 임명한 임기제 공무원의 사퇴 시기를 둘러싸고 여야를 비롯한 지역 정가 여론이 분분하다.
특히 시민들은 현재의 위기 상황에서 무조건 사퇴하라는 목소리는 보다는 지금은 창원 시정을 안정시키고 경제를 챙기는 것이 급선무라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창원시의원단은 7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홍 전 시장이 임명한 조명래 제2부시장과 특보진, 감사관 등 임기제 공무원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시의원단은 “홍 시장은 임기 내내 전임 시정을 탓하며 정치적 감사를 남발했다”며 “그 결과 웅동1지구 사업자 자격 박탈, 마산해양신도시 소송 패소, 액화수소플랜트 분쟁, 제2국가산단 표류, 구산 해양관광단지 중단 등 대형 사업이 줄줄이 무너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2부시장은 지방선거 당시 홍 전 시장 선거캠프의 핵심 인물이자 시정 실패의 공동 책임자”라며 “특보진과 감사관 또한 정치 감사로 시정을 흔들고 행정을 마비시킨 책임이 절대 가볍지 않다”고 말했다.
의원단은 “이들이 자리를 지키는 한 창원시정의 신뢰 회복은 불가능하다”며 “불법정치자금법 위반 의혹 등으로 수사 중인 제2부시장 등 관련자를 경찰이 기소해야 한다”고도 했다.

오후에는 국민의힘 창원시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일부 민주당 시의원들은 창원시 위기를 관리하는 감사관 흔들기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시의회 액화수소플랜트사업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김미나·박승엽 의원은 “감사관은 임기가 보장된 개방직 공무원”이라며 “감사관은 남은 임기 동안 사업에 관한 진실을 끝까지 밝히고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 민주당 시의원들이 특위에 참가하지도 않고 감탄고토식 해석으로 모든 사안을 허위 날조라고 주장한다”며 “감사를 회피하려는 건 방해하려는 의도가 아닌가 의심스럽다”고 했다.
“1050억원이라는 막대한 재원이 투입된 이 사업 추진 과정에서 법을 무시한 진행과 권력 남용 혐의 등이 발견됐다”며 “이번 사안은 단순히 정파의 문제나 전임 시장에 대한 흠집 내기가 아니라 창원시민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책임소재를 분명히 가려야 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지역 정가에선 시장과 하나의 운명체 또는 정치공동체로 인식되는 정무직 인사가 시장 부재에도 그대로 머물면 권한대행인 제1부시장의 시정 활동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시장 등 단체장이 임명한 정무직 인사는 단체장 임기가 종료되는 것에 맞춰 함께 마치는 것이 관례라는 점도 지적됐다.
반대로, 시장의 부재로 불안정한 가운데 시정을 뒷받침하던 정무직 인사까지 모조리 공석이 되면 오히려 권한대행 업무가 늘어나 부담이 가중되고 행정에 구멍이 날 거라는 목소리도 있다.
시장 부재 여파가 어느 정도 수습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이들이 사퇴하면 공석이 된 자리를 언제 채울지 미지수라는 점과 권한대행에게 임명권이 있더라도 관련 절차를 거치려면 임명까지 최소 40∼50일이 소요된다는 점 등도 우려 요인으로 꼽혔다.
임기제 공무원인 제2부시장과 감사관의 임기가 오는 7월, 정무 특보 임기가 내년 1월까지인 가운데 이들의 사퇴 시점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