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의회 채은지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7일 열린 제331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서광주IC 일대의 교통대란에 대한 광주시의 선제적 대응과 호남고속도로 확장 사업의 전액 국비 전환 및 대통령 공약화를 촉구했다.
채 의원은 “서광주IC는 하루 15만6,000여대, 운암사거리는 10만9,000여대의 차량이 통과하는 교통 요지다”며 “내년까지 5,674세대의 대단지 입주가 예정돼 있고, 더현대광주·광주신세계 확장·전일방 부지 개발 등 초대형 개발사업들이 줄줄이 착공을 앞두고 있어 지금의 병목 현상이 대란으로 이어질 것은 불 보듯 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운암사거리 입체교차로 설치 ▲북문대로·동운고가 등 연결도로 구조 개선 ▲개발사업 대비 신규 도로 조기 개설 ▲용봉IC 진입로 개설·호남고속도로 확장 등 광주시 차원의 교통인프라 대응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채 의원은 특히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광산IC 구간의 확장 사업에 대한 국가 책임을 지적하며, “해당 구간은 도로법상 국가가 책임져야 할 간선도로임에도 광주시가 전체 사업비의 50%를 부담하고 있다”며 “시 부담금만 1,381억원에서 3,967억원으로 287%나 증가했고, 총사업비는 1조원을 넘길 것이다”고 우려했다.
그는 “재정자립도가 낮은 광주시가 재정 부담을 계속 떠안는 구조는 지속될 수 없다”며 “사업의 전액 국비 전환과 함께 차기 대선공약 반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새로운 시대가 열린 지금은 지방의 현실을 직시하고 수도권 일극주의를 넘는 균형발전을 추진할 시점이다”며 “조기 대선을 맞아 광주시는 지금부터 시민의 목소리에 기반한 철저한 준비와 지역 현안을 국가 의제로 끌어올릴 전략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채 의원은 “서광주IC는 꿀잼도시 광주로 가는 관문이자 도심 교통의 마지막 보루다.
지금 이 골든타임을 놓친다면 도로 기능은 물론 광주 성장 기회까지 놓칠 수 있다”며 “이제는 국가 책무와 광주의 미래에 대한 약속을 새롭게 구성해야 할 때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호남고속도로 확장 사업은 시 재정 여건에 따라 사업비 50%(3,967억원) 부담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며 “고속도로 건설과 관리는 국가 책임인 만큼 전액 국비가 지원될 수 있도록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또 “서광주IC 교통 문제는 전문가 자문과 함께 관련 용역 등을 통해 시민 교통 불편을 해소할 다양한 개선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