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포스텍 연구진 “태양광+얼룩말 줄무늬=물 부족 해결“

포스텍 전상민 교수팀, 물과 전기 동시 생산하는 지속가능 담수화 솔루션 개발

포스텍(포항공대)은 7일 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 Tawseef Wani(토시프 와니) 박사 연구팀이 태양광을 이용, 바닷물을 증발시키면서 식수와 전기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얼룩말 줄무늬 증발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2024년 유네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약 22억명이 안전한 식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각해지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수 담수화'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소모와 초기 설비 비용 때문에 외딴 지역이나 저개발 국가에서는 적용이 제한적인 실정이다.

‘태양열 기반 증발식 담수화(Solar Steam Generation, 이하 SSG)’ 기술은 태양광을 이용해 물을 국소적으로 가열해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구조가 단순해 기존 기술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증발 면적이 커질수록 중심부에 수증기가 축적돼 오히려 증발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 얼룩말의 줄무늬가 단순한 무늬가 아니라 체온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이론에서 영감을 받아 문제 해결에 접근했다.


검은색 줄무늬는 햇빛을 흡수해 온도를 높이고, 흰색 줄무늬는 빛을 반사해 온도를 낮추며, 이로 인해 양쪽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면서 자연적인 공기 대류가 유도돼 체온이 조절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셀룰로스 박막에 빛을 흡수해 열로 전환하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피롤(Polypyrrole)을 입혀 검은색의 SSG 박막을 제작하고, 이를 일정 간격의 줄무늬 (검은색 80%, 투과 공간 20%) 형태로 절단했다.


또 이 구조 아래에 태양전지를 배치함으로써, 수분 증발과 동시에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특히 이 구조를 단순한 평면이 아닌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3차원 줄무늬 SSG로 제작한 경우, 온도 차이에 따른 공기 대류 촉진 효과 외에도 증발기 뒷면에서의 추가 증발과 내부에서의 빛 산란이 증가함에 따라 2차원 구조에 비해 담수 생산량이 28% 향상(1.25kg/m2h→1.6kg/m2h)했다.

전기 생산 역시 약 10% 향상(20.5mA→22.5mA로)되는 성과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전상민(사진) 교수는 “얼룩말 줄무늬 3D 태양열 증발기는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는 만큼 대형화에 유리한데다 전기와 담수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전력과 식수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해수 담수화 연구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해수담수화’에 온라인 게재됐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포항=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40751187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