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부산대 유진욱 교수팀, 먹는 약으로 대장암 치료 기술 개발

부산대 연구진이 먹는 약으로 부작용 없이 대장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는 제약학과 유진욱 교수 연구팀이 경구투여 경로를 이용해 전신 분포 없이 대장암 조직에 직접적·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국소 정밀 대장암 치료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먹는 약으로 대장암 치료 기술을 개발한 부산대 제약학과 유진욱 교수(오른쪽)와 이주호 박사.
기존 대장암 치료는 항암화학요법이 주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약물이 암 조직이 아닌 정상 조직으로 분포돼 극심한 부작용을 일으키고 암 조직에는 매우 적은 약물만 축적돼 치료 효과가 제한되는 큰 한계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ol-gel-sol(특정 환경에서 약물이 고체(gel)와 액체(sol) 상태를 오가는 방식) 전환 기술과 암세포 특이적 나노복합체를 결합한 새로운 약물 전달체를 개발하고, 대장암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검증했다.

경구 투여된 약물 전달체는 위에서 산성 환경에 의해 젤 상태로 변환돼 내부에 봉입된 약물 나노복합체가 흡수 또는 분해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대장에 도달하면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 변화에 따라 젤 구조가 해체돼 나노복합체가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분포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암 조직에 분포된 후 나노복합체는 암세포 내 특정 효소 활성에 반응해 약물 방출이 촉발돼 건강한 조직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위장관 내 sol-gel-sol 변환 및 암세포 특이적 나노복합체를 응용한 경구용 국소 대장암 표적 치료제 개발 개요도. 부산대 제공
연구팀이 제안한 약물 전달 구조는 항암 치료에 있어 기존 전신 투여 방식의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대장 질환 및 마이크로바이옴(인체미생물 유전정보) 치료제 개발에도 적용 가능성이 높아 다양한 대장 질환 치료를 위한 국소 정밀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유진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히 대장암 치료를 넘어, 국소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이 기술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및 세종과학펠로우십 지원을 받아 부산대 제약학과 유진욱 교수가 교신저자, 이주호 박사가 제1저자로 수행했다.
논문은 ‘위장관 내 sol-gel-sol 변환 및 암세포 특이적 나노복합체를 응용한 경구용 국소 대장암 표적 치료’라는 제목으로 국제 학술지 ‘화학공학 저널’ 2월 1일자에 게재됐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407511339.jpg
  • newhub_20250407511337.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