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구원은 7일 BDI 정책포커스 '철도역 주변에 도시디자인을 입히다'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최근 개통된 부전역의 중앙선과 동해선으로 이용객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진 역사와 인근 지역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시설 개선과 편의성 증대 등 역사 내 혼잡 완화와 주변 환경 정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철도역 주변 도보 거리 내 상권 형성과 관광지 연결이 지속적인 유동 인구를 확보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낙후된 역 주변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걸으면서 즐길 수 있는 ‘워커블 시티(Walkable City)’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철도역은 뛰어난 접근성을 바탕으로 상업, 주거, 문화, 관광 기능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권이 분산되지 않도록 조성하고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를 강화해 지속적인 방문객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를 위한 주요 전략으로 다음 네 가지 핵심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부전역을 부산의 교통·상업·문화 중심지로 육성하는 방안이다.
도시철도 1·2호선이 교차하는 부전역은 부산 도심 철도망의 핵심이자 동서교통의 허브다.
15분 도보 거리 내 부산시민공원, 송상현 광장, 서면 상권, 전포카페거리 등이 위치해 발전 잠재력이 풍부하다.
둘째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하트웨어로 구성된 통합적 접근 추진이다.
무장애 설계와 15분 도시 개념의 하드웨어, 디지털 커뮤니티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감성적 경험을 유도하는 하트웨어를 결합한 사람 중심 디자인을 구현한다.
셋째 커뮤니티 디자인 적용이다.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으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지역 특성을 정확히 반영한 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을 조성한다.
넷째는 매력적인 보행 네트워크 조성이다.
부전역-송상현광장-부산시민공원-화지공원을 잇는 '부산 센트럴 파크웨이'와 부전역에서 서면 상권으로 이어지는 '부산의 소호(SOHO) 거리'를 개발해 걷고 싶은 보행 친화 거리를 구축한다.
윤지영 부산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철도역과 주변 지역을 연계한 보행 친화적 환경은 시민과 관광객 유입을 촉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것”이라며 “부전역이 단순한 교통 거점을 넘어 부산의 핵심 관광 자원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BDI 정책포커스는 부산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