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산불 피해가 급격한 지역소멸로 이어지지 않도록 종합적인 지원 대책을 빠르게 마련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괴물 산불’ 폐허된 마을 수두룩
6일 경북도에 따르면 초대형 산불 발생으로 경북에선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지난 2일 기준 5개 시군의 피해조사액은 8000억원이다.
그러나 피해 면적이 광범위한 산림 조사율은 29%에 그친다.
산불영향 구역은 역대 최대인 4만5157㏊에 이르기 때문이다.
여기에 주택 68.9%, 농작물 85%, 가축 98% 조사가 진행됐다.
![]() |
산불이 휩쓸고 간 3월29일 경북 의성군 하화리에서 한 주민이 폐허가 된 주택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택 3987채 중 대부분인 3915채가 전소됐다.
지역별로는 영덕이 1520채로 주택 피해가 가장 크고 안동 1230채, 청송 770채, 의성 357채, 영양 110채 순이다.
농축산업 피해를 보면 농작물 378㏊, 시설하우스 423동, 축사 217동, 농기계 6230대가 불에 탔다.
농작물 가운데는 과수가 3645㏊로 피해가 컸다.
산불이 동해안까지 번지면서 영덕에서는 어선 23척, 어민 가옥 78채, 정치망 어구 13건이 소실됐다.
양식장 5곳에서 강도다리, 은어 등 36만마리가 폐사해 30억원 상당의 피해가 났다.
수산물 가공업체 3곳의 공장·창고 16개 동이 전소돼 35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무선과 유선 통신 복구율은 각각 96%, 96%다.
유료 방송 복구율은 89%다.
상수도는 모두 복구됐으나 하수도 피해 3개 시설 가운데 1곳은 아직 복구가 진행 중이다.
주택·건물 179곳은 전기 복구를 하고 있다.
이번 산불로 중소기업 65곳과 소상공인 업체 135곳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
![]() |
3월28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이 산불로 폐허로 변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
가뜩이나 지방소멸위기 지역이 많은 경북 북동지역에 대규모 산불 피해가 발생하면서 지방소멸 시계가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산불·수해 등 해마다 되풀이되는 대형 재난 속에서 발생하는 이재민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고령사회에 접어든 경북 북부권 지역의 인구 감소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마을의 집들이 바위에 붙은 따개비처럼 다닥다닥 붙어 ‘따개비마을’로 불리는 석리는 주택 84채 중 78채가 탔다.
6채를 제외한 모든 집이 잿더미가 된 셈이다.
이 마을 주민 70대 김씨는 “어릴 적부터 살아오던 마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 않을까 두렵다”고 말했다.
영양군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석보면의 주민은 “언제 복구될지 모르는데 마냥 기다릴 수 있겠느냐”며 “대구에 사는 아들 집으로 거처를 옮길지 고민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주민과 복구 지원, 재난 대응 체계 정비, 지역재건을 위한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복구 및 지역재건을 위한 특별법’ 마련 촉구했다.
도는 특별법을 통해 피해복구 사각지대 해소와 지방소멸 방지, 초대형 산불대응 체계 구축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이번 추경에 피해복구 및 지역경제 재건을 위한 예방정비 사업과 산불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예산은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며 “산과 농지, 바다를 새롭게 개발해 후손들에게 더 좋은 자원을 물려주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안동=배소영 기자 soso@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