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2년간 외국인 유학생 1000명을 직접 유치한다.
광역지자체가 스스로 외국인 비자 발급 요건을 만들어 지역에 필요한 외국인을 데려올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인구 감소·소멸에 대응해 정주형 외국인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양성하기 위한 비자 권한의 지자체 이양 프로젝트가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돼 지역맞춤형 외국인 전문인력 양성 기반을 마련한다고 3일 밝혔다.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광역자치단체가 지역의 산업적 특성과 인력 수요를 반영해 비자 발급 요건 등을 설계하고 법무부가 이를 승인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에 전국 16개 시도가 참여했으며 부산시를 비롯해 서울, 인천, 대구, 경북 등 14개 시도가 선정됐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미래 신산업 분야 외국인유학생의 비자 발급을 위한 재정 요건이 완화되고 학기 중 인턴 활동이 허용된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 자동차 부품 분야의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향후 2년간 외국인유학생 1000명을 지역 대학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지역 대학, 산업계와 협력을 강화하고 취업 정주 기반을 구축해 해외 우수 인재가 부산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RISE 사업), 글로컬 대학사업 등 시가 추진하고 있는 유학생 지원정책과도 연계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이번 시범사업 실시로 인구감소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 대학에 활력을 불어넣어 대학의 교육 경쟁력이 강화되길 바란다.
또 외국인유학생이 졸업한 후 지역에 정착해 청년 인구가 증가하는 효과도 기대한다.
반도체, 이차전지 및 미래 자동차부품 분야는 부산의 주요 전략 산업 중 하나로 지난해 지정된 기장 장안지구의 기회발전특구 등 지역 주요 산업 정책과도 연계할 수 있게 됐다.
외국인유학생 유치가 지역산업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발전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공모사업 선정으로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지역 대학과 산업이 상생 발전할 중요한 기회를 잡았다”며,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인구 감소 문제 극복을 위해 힘을 쏟아붓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