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항공사는 지난달 30일부터 10월 26일까지 운영되는 여름철 김포,김해공항 등 국내 주요 공항의 국제선 운항이 늘어난다고 2일 밝혔다.
한국공항공사는 올해 말까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 |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공항이용객 모습 |
특히 한·중 상호 무비자 입국 허용 등 영향으로 중국노선이 지난해 동계시즌 대비 주 136편(21%) 증가했다.
단거리 소도시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몽골노선은 주 20편(100%), 일본노선은 주 60편(6.6%) 각각 늘었다.
이와 함께 새로 대구-홍콩(주 4편), 제주-가오슝(주 8편), 청주-울란바토르(주 12편) 노선을 운항한다.
또 김해-나고야(주 14편 → 주 24편), 제주-푸동(주 108편 → 주 140편), 청주-후쿠오카(주 10편 → 주 26편) 등 기존 노선이 대폭 증편됐다.
김해공항은 울란바토르 신규 취항을 포함해 총 39개 노선이 운영될 예정이다.
괌 노선(주 8편 → 주 18편)과 상하이 노선(주 42편 → 주 66편) 증편에 따른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항공기 운항시각을 분산 조정할 계획이다.
대구공항은 중국 옌지, 홍콩 등 14개 노선에 주 200편을 운항한다.
지난달 환승시설을 개장해 몽골-대구-일본을 잇는 환승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주공항은 후쿠오카, 나고야, 삿포로 등 일본 노선 확대와 몽골 신규 취항으로 지역주민의 항공여행 선택권이 확대됐다.
공사는 이달 시작하는 2025 오사카 엑스포 등 국제행사와 연계한 여행상품을 개발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확대하고 있다.
신규 취항 및 증편 항공사에는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홍보비용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허주희 한국공항공사 글로컬사업본부장은 “한?중 상호 무비자 입국 시행에 따라 지방공항의 중국노선을 증편하고, 중장거리 노선도 추가 개설해 지역주민의 항공교통 편의를 높이겠다”며 “해외 인바운드 유치를 통해 지방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연직 선임기자 repo21@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