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신중년 맞춤형 일자리 확대, 전략산업 고용 창출
경북 경주시는 올해 1만3700여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 '2025년 경주시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을 지난달 29일자로 수립·공시했다고 1일 밝혔다.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일자리 목표와 추진계획을 수립해 주민에게 공개하고, 그 성과를 평가받는 제도다.
![]() |
경주시가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원자력·금속부품 분야를 중점 육성해 고용 기반을 확대할 방침인 가운데 지역 한 기업이 공장 신축 준공식을 갖고 있다. 경주시 제공 |
올해 경주시는 민선 8기 3년차를 맞아 유동인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5대 핵심 전략을 수립했다.
이를 실행할 231개 세부사업에 539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공공부문의 재정지원 직접일자리 사업은 8829개, 직업능력개발 및 고용서비스 부문은 2439개, 기타 분야에서는 2446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위한 지원사업을 비롯 신중년과 노인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여성과 장애인 대상 특화 일자리, 재취업과 지역사회 서비스 일자리 등 다양한 고용 대책도 포함했다.
![]() |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 패키지 공모사업에 선정된 경주 외동산단. |
특히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원전 산업, 중소상공인 지원사업,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 등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원자력·금속부품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해 고용 기반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지역 대학과 산업체, 연구기관을 연계한 '지산학 협력체계'를 강화해 지역 정주형 인재를 양성하고, 직업 평생교육 확대, 창업 아이템 발굴,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농어촌 인프라 조성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시는 첨단산업과 관광산업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도시인 만큼 지역 특화 인재를 양성하고 다양한 일자리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경주=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