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ㅣ춘천=김기원기자]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보건복지부 「지역필수의사제 운영지원 시범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사업은 정부 의료개혁 과제 중 하나로, 지역에서 장기 근무 할 지역 필수의사에게 지역근무수당(국도비)과 정주 여건(지자체)을 지원하여,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 및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보건복지부 선정평가위원회(1차 서면심사, 2차 대면심사)를 통해 사업 추진 여건의 적합성, 사업 계획의 적절성, 사업 추진의 적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신청한 12개 지역 중 강원을 포함한 4개 시도*가 최종 선정됐다.
* 4개 시도 선정: 강원, 경남, 전남, 제주
강원자치도는 필수의료의 중증응급진료의 최종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 의과대학 졸업 후 해당 병원에서 수련한 전문의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자 4개 대학병원(강원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강릉아산병원)을 참여 의료기관으로 지정했다.
또한, 전국 유일 도에만 설치되어 있는 강원의료인력지원센터*를 권역지원센터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 강원의료인력지원센터(2024년 6월): 강원의료인력 양성 및 공동활용을 위한 전담 기구
강원자치도는 정주 여건 지원을 위해 ㈜강원랜드의 사회공헌사업과 연계해 심신 치유 힐링 프로그램 및 레저관광 인프라를 제공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며, 참여 의료기관 소재 지자체인 춘천원주강릉에서는 지역 정착 수당으로 월 100~200만 원 상당의 지역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내 의과대학이 있는 참여 의료기관의 경우 해당 의과대학과 협력하여 교육부 RISE 사업과 연계한 지원 방안(연구활동 장려금, 의대생 실습책임 활동수당 등)도 마련할 예정이다.
정영미 복지보건국장은 “필수 진료과 의사 확보를 위해 의료기관 및 지역 의사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인재를 유치할 계획”이라며, “지역 필수의사 확보와 유지를 통해 도내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중증응급 환자의 유출을 줄여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acdcok4021@sportsseoul.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