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부지사 전성시대?…경기도 잇따라 부지사→산하기관장 변신

‘행정의 달인’ 오후석 前 부지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 내정
‘북자도’ 근간 마련…북부 대개조, 경기패스, 별내선 등 이끌어
‘믿고 쓴다’는 김동연 지사 인사 방식 반영…인사청문회 거쳐야
‘재정 전문가’ 김현곤 前 부지사…경과원 원장 변신, 열정 근무
탄핵·계엄사태로 불안정한 통상환경 대응…중기수출 지원 초점
도의회 野 ‘회전문 인사’ 비판…능력 위주 ‘중용 인사’ 반론도


1360만 인구를 지닌 경기도의 부지사들이 잇따라 산하기관장으로 옷을 갈아입으며 이목을 끌고 있다.
이들의 ‘새 출발’을 두고 도의회 야당은 ‘회전문 인사’라고 비판하는 반면 능력 위주의 ‘중용 인사’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 내정자
31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 임원추천위원회는 최근 오후석 전 경기도 행정2부지사 등 2명의 후보자를 김동연 지사에게 추천했고, 김 지사는 오 전 부지사를 최종 후보자로 낙점했다.
오 전 부지사는 도의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김 지사가 최종 임명할 것으로 보인다.

오 전 부지사는 그동안 김 지사를 대신해 경기 북부를 총괄하며 ‘행정의 달인’으로 불렸다.
1994년 행정고시에 합격한 뒤 국무총리실, 경기도 정책기획관, 경제실장,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정책관 등 중앙과 지역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김현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원장
2022년 경기도 행정2부지사로 취임하면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북자도) 출범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사실상 좌초됐고 경기 북부 대개조 프로젝트, 경기패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별내선 개통 등을 주도해왔다.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후배들에게 길을 내주겠다”며 30여년의 공직 생활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안팎의 만류와 계엄사태가 겹치며 명예퇴직 시기가 늦춰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포천 공군기 오폭 사고까지 터지며 이를 수습하느라 이달 17일 퇴임식 직전까지 고난의 행군을 이어왔다.


도 안팎에선 오 전 부지사의 거취를 두고 북자도 문제에 도의적 책임을 졌다거나, 행안부 산하기관장으로 자리를 옮긴다는 소문이 무성했다.
이런 그가 도 산하기관장에 내정되자 의외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일각에선 ‘한 번 중용한 인사는 끝까지 믿고 간다’는 김 지사의 인사 방식이 거론된다.
‘완전한 은퇴’를 꿈꾸던 오 전 부지사를 지근거리(至近距離)에 두고 활용하려는 김 지사의 바람이 작용했다는 추측이 나온다.


이달 14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 원장에 취임한 김현곤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 역시 마찬가지다.
김 전 부지사는 내정 직후 도의회 야당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았다.
도의회 국민의힘은 김 전 부지사에 대한 인사청문회 직후 “경제부지사 임명 뒤 건강상의 이유로 10개월 만에 사임하고 4개월 뒤 옷만 바꿔 입은 ‘회전문 인사’”라며 비난했다.
반면 김 지사는 김 전 부지사를 신뢰하며 임명을 강행했다.

경기도청
김 지사의 민선 8기 경기도정에서 경제 분야에 특화된 기관으로 거듭난 경과원을 맡기기에 적합한 인물이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화답하듯 김 전 부지사는 원장 취임 이후 업무에 매진하고 있다.

취임 첫날에도 취임식을 생략한 채 탄핵·계엄사태로 불안정한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했다.
경과원 산하 19개 해외 경기비즈니스센터(GBC) 소장들과 화상회의를 열어 가용 채널을 총동원해 각국의 통상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대응하도록 했다.
행정고시 38회인 김 전 부지사는 기획재정부 예산관리과장, 재정혁신국장 등을 지냈고 김 지사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일하던 2018년 정책기획관으로 함께 근무했다.
지난해 1∼10월에는 경기도 경제부지사로 일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401500560.jpg
  • newhub_20250401500559.jpg
  • newhub_2025040150055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