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올 2분기 경기 전망이 전 분기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부정적인 인식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1.6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31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2분기 경기전망지수가 1분기 대비 0.4포인트 소폭 상승한 80.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2월 17일부터 28일까지 중견기업 800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직전 분기보다 다음 분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고, 100 미만이면 반대라는 의미다.
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보다 1.4포인트 오른 82.6이다.
1차 금속(66.3, 4.6포인트↑)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면, 식음료품(64.1, 19.4포인트↓), 자동차·트레일러(76.8, 7.9포인트↓) 등 대다수 업종에서 전반적인 하락세가 나타났다.

비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 분기(79.5) 대비 0.7포인트 감소한 78.8로 집계됐다.
운수(78.0, 11.2포인트↓) 업종의 하락폭이 가장 컸고, 부동산(63.7, 7.2포인트↓), 출판·통신·정보서비스(78.8, 4.3포인트↓) 업종이 뒤를 이었다.
수출전망지수는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 분기(94.1) 대비 3.1포인트 상승한 97.2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부정 전망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내수·생산·영업이익·자금사정 등 주요 실물지표 전망은 전 분기 대비 모두 하락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높은 경제 기여도를 감안할 때 중견기업계의 부정적인 경기전망이 지속되는 사태를 엄중하게 인식해야 한다”라면서, “급격한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해 수출과 내수 전반의 활력을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내수부진, 인건비 상승, 업체간 과당 경쟁,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변동 등 중견기업의 고질적인 경영 애로를 해소하는 데 정부와 국회는 물론 각계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