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취업 후 정규직 비율 42% ‘뚝’
지원 조례·기관 많지만 연계 한계
‘서울시50플러스’통해 인생 이모작
“자전거 정비사 자격증 큰 도움 돼”
일자리 질 하락… “보완 필요” 지적
“소득공백 시기를 맞이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막연한 것이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기업이나 나라에서 준비를 시켜 주는 것도 없고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을 통해 어느 방향으로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고,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은 것이 가장 큰 소득입니다.
”
기업이나 나라에서 준비를 시켜 주는 것도 없고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을 통해 어느 방향으로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고,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은 것이 가장 큰 소득입니다.
”
![]() |
26일 서울 은평구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에서 열린 공유 모빌리티 업체 ‘지바이크’ 채용설명회에는 김씨와 같은 고민을 가진 중장년 구직자들이 대거 몰려들었다.
자전거 정비, 수거·재배치 등을 맡는 직원 10명을 채용하는 이날 설명회에는 65명의 구직자가 문을 두드렸다.
준비한 자리가 모자라 의자를 추가로 배치할 정도로 시민들 호응이 높았다.
김정민 지바이크 인사팀장은 “중장년층의 경우 높은 소득보다도 정규직이라는 안정성을 선호하는 편”이라며 “현장 대처가 유연하고 업무 외적으로도 다른 직원의 멘토 역할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중장년층 구직자의 재취업 열의는 높으나 이들이 만족할 안정적 일자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27일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는 2010년대부터 중장년층의 재취업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조례 등 제정을 통해 지원 근거를 만들고, 기관을 설립해 중장년 재고용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다만 재취업 후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등 15개 광역자치단체는 중장년 일자리 지원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해 중장년층의 재고용을 위한 지원 근거를 마련한 상황이다.
이 중 8개 시·도는 별도의 지원기관을 설립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226개 시·군·구 중 94곳이 중장년 일자리 지원 관련 조례를 제정했으며, 30여곳이 자체 중장년 일자리 지원기관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재고용을 원하는 중장년 구직자와의 상담과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해 새로운 일자리를 연결해 주는 식이다.
채용 수요가 있는 기업과 협력해 일자리를 발굴하고 취업을 지원하기도 한다.
다만 지자체들은 안정적이고 높은 수입을 보장하는 민간 일자리를 연계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지자체의 지원기관과 연계한 기업의 직무는 주로 경영·영업직, 서비스직 등 비교적 단순한 일자리에 치중돼 있다.
일자리 지원기관은 취업연계 수로 성과를 평가받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재취업이 쉬운 단순노무직이나 계약직에 취업 연계를 우선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실제 한국경제인협회 중소기업협력센터의 ‘2023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재취업 후 정규직 비율은 42.1%로 이전 주 직장(74.5%) 대비 크게 떨어졌다.
‘재취업을 위해 직업을 변경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3.5%로 절반이 넘었다.
중장년 구직자의 경우 자신의 경험이나 경력을 살리는 직무를 이어가기 어려워 재취업을 하더라도 일자리의 질적 하락이 불가피하게 된다는 분석이다.
이에 중장년의 계속고용을 위한 지자체나 기관의 정책에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권혁 고려대 노동대학원 교수는 최근 열린 ‘서울시 중장년 정책 포럼 2025’에서 “기존 사업장 내 계속고용이나 이직 후 재취업과정을 위한 자기계발 및 훈련 등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고용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작동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