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대학교는 이준행 교수(전남대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와 이시은 교수(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 연구팀이 개발한 차세대 점막 백신 기술이 세계적인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자가조립 단백질 나노케이지를 활용해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면역 방어를 유도하는 점막 백신을 개발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나노케이지 백신플랫폼은 코로나 사태 이후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한 감염증을 첫 관문인 호흡기 점막부터 억제할 수 있는 미래 점막 백신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페리틴(Ferritin) 기반의 단백질 나노케이지 표면에 폐렴구균의 방어항원인 tPspA와 그들이 20여년 넘게 연구해오고 있는 강력한 점막 면역보조제인 플라젤린(Flagellin, FlaB)을 동시에 탑재한 차세대 백신을 설계했다.
본 나노케이지 백신플랫폼은 백신을 효과적으로 면역조직으로 도달시키는 전달체, 항체 생산 B 세포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항원 복합체, 그리고 면역증강제인 플라젤린을 안정성 높게 발현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그동안 점막 백신의 실용화를 가로막고 있었던 기술적 난관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연구 결과, 나노케이지 형태의 백신은 기존의 항원-면역보조제 융합 백신과 비교해 점막 면역반응, 기억 B세포 형성, 생성 항체의 항원 결합력,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균형을 유의미하게 향상했다.
생쥐 모델에서 해당 백신을 비강 투여했을 때, 치명적인 폐렴구균 감염으로부터 생존율이 많이 증가했으며, 폐 조직 손상 또한 현저히 감소하는 보호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책임자인 이준행 교수와 이시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점막 백신 분야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향후 다양한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의 핵심 기반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