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장성군, ‘천년의 숲 비자림’ 조성



[스포츠서울|조광태기자] 전남 장성군이 조림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군은 올해 8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해 110헥타르(ha) 면적에 비자나무, 편백나무, 목 백합, 상수리나무 등 20여만 본을 식재한다.

특히, 비자나무숲 조성이 이목을 끈다.

장성군은 축령산 인근에 비자나무숲을 조성해 편백숲에 이은 또 하나의 ‘명품 천년 비자숲’을 탄생시킬 계획이다.

온난한 기후에서도 잘 자라는 비자나무는 독특한 향과 유용한 열매(비자), 그리고 아름다운 수형(樹形) 덕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수가 많다.

장성 축령산은 국대 최대규모 인공조림지인 편백숲으로 유명하다.

춘원 임종국 선생(1913~1987)이 21년간 나무를 심어 가꿨다.

오늘날에는 산림청이 숲의 가치를 인정해 ‘22세기를 위해 보존해야 할 아름다운 숲’으로 지정했다.

군은 축령산 편백숲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비자나무숲 조성에 도전한다.

장성군과 비자나무는 인연이 깊다.
지금으로부터 60여 년 전인 1962년,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숲(북하면 약수리 산115-1)이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된 바 있다.

고려시대 때 각진국사가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8~15미터까지 자라지만 ‘살아서 천년, 죽어서도 천년’이라 불릴 정도로 생장 속도가 느린 편이다.

목재의 질이 우수해 과거에는 최고급 바둑판이나 배를 제작하는 데 요긴하게 쓰였다.
독특한 모양의 이파리와 아름다운 나무 형태를 지녀 조경수로도 가치가 높다.

장성군은 비자나무가 지역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수종인 만큼, 축령산 하늘숲길 주변 5헥타르(ha) 시범 식재를 시작으로 점차 숲의 규모 늘려나갈 계획이다.

앞선 2월부터는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의 일환으로 ‘고향사랑 숲길 조성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향우들과 장성의 성장을 응원하는 사람들이 비자숲 조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고향사랑이(e)음 누리집에서 ‘특정사업에 기부하기’를 선택하고 검색창에 ‘장성’ 또는 ‘숲길’을 입력하면 해당 사업을 확인할 수 있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천년 비자숲 조성을 필두로 조림사업을 확대 추진해 산림의 공익적경제적 가치를 높여 가겠으며,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chogt@sportsseoul.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news-p.v1.20250327.4d5767580d6940a08892a7e59f08deb3_P1.pn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