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광주에 퍼지는 보이스피싱…경찰 “절대 응대 말라”

광주에서 검찰·금감원·카드사 등을 사칭해 수억원대 현금이나 수표를 가로채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잇따르자, 경찰이 특별경보를 내리고 시민 주의를 당부했다.
전화로 개인정보 유출이나 범죄 연루를 운운하며 고액 수표 발행을 유도하는 수법이 반복되고 있어, 경찰은 112 신고와 즉각 차단만이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26일 광주 경찰에 따르면 최근 ‘검찰’ ‘금융감독원’ ‘카드사’ ‘택배기사’ 등을 사칭해 고액 현금이나 수표를 요구하는 수법의 보이스피싱 범죄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경찰은 이들이 조직적으로 역할을 나눠 접근하며 피해자를 현혹하고 있어, 어떤 요청에도 절대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 2월 초 한 피해자는 개인정보가 유출돼 범죄에 연루됐다며 신원을 확인하겠다는 말에 속아 수억원 상당의 수표를 불상의 남성에게 전달했다.
같은 달 말에도 검찰과 금감원 직원을 사칭한 이들이 “수사 종결 후 돈을 돌려주겠다”며 피해자에게 수억원을 계좌로 이체하게 만든 사건이 발생했다.
두 사건 모두 지난 25일 경찰에 신고됐다.


광주경찰은 형사기동대와 관할 경찰서 내 보이스피싱 전담팀(6개 팀, 35명)을 전담수사팀으로 지정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가 발생하면 회복이 어려운 범죄 특성상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유사 전화 통화를 했다면 즉시 112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찰은 특히 수표를 이용한 피해가 늘어나는 점에 주목했다.
500만원 이상 고액 수표를 발행하는 금융기관에 112 신고를 요청했고, 실제 수표를 발행한 은행 2곳에 대해서는 발행 경위를 확인할 예정이다.
또 피해자가 경찰 요청에도 불구하고 보이스피싱 조직의 말에 따라 악성 앱을 일시 삭제한 뒤 새 휴대전화를 개통해 다시 앱을 설치하는 등 치밀하게 조작된 범행도 확인돼 주의가 요구된다.


경찰은 ▲검찰·금감원이 은행 밖에서 돈을 요구하는 경우 ▲URL을 통해 앱 설치를 유도한 뒤 현금·수표를 요구하는 경우 ▲범죄 연루나 불법 자금 조사를 이유로 금융거래를 유도하는 경우는 100% 보이스피싱이라며, 이 같은 전화를 받으면 즉시 전화를 끊고 신고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송보현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2616131284919_1742973191.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