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에 행정부시장(이준승)을 위원장으로 하는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 협의체’가 출범했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김해공항 서측 제2에코델타시티 구역에 미래항공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26일 오후 2시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지·산·학·연 36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알렸다.
이날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앵커 기업인 대한항공과 국내 차세대 항공 부품 시장을 주도할 산·학·연 35개 기관 대표 및 임직원과 함께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정기 협의체를 출범했다.
글로벌 항공 수요가 급증하면서 부산시는 지역 전략 신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역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해오고 있다.

차세대 민항기 제조 분야에서 경량화, 고속생산, 친환경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 항공 복합재 분야 점유율이 급증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와 관련해 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주도적 위치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2022년부터 28억여원의 자체 투자를 통해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항공부품산업의 기술 고도화와 도심항공모빌리티 관련 부품 개발을 위한 R&D 지원을 추진 중이다.
또 2024년 10월에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항공산업을 전략산업으로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유치하고 첨단제조 실증센터 건립 및 실증지원 핵심장비 도입을 준비하는 등 미래항공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 협의체는 이준승 행정부시장을 위원장으로 본 협의체와 실무협의체로 나눠 운영된다.
▲전략 분야 기술개발 ▲기술지원 인프라 구축 ▲제도 마련 및 규제 해소 등 산업 관련 정책 추진 방향을 논의하는 역할을 한다.
간사기관은 부산테크노파크가 맡았다.
부산시는 협의체 출범으로 특화 전략을 통해 국내 항공우주산업 저변 확대 및 지속 가능한 글로벌 공급망 기반 산업생태계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2에코델타시티 지역 내 전략사업 선정으로 그린벨트 해제와 함께 산업단지 지정을 통해 기업 유치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항공복합재 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지원 등도 확대해 나간다.
또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등 미래항공모빌리티 분야에서도 시범사업 지역 지정, 실증사업 추진을 통해 관련 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특히 에어버스 씨티씨(CTC) R&D 사무실 개소를 통해 국내 항공기업의 복합재 특화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협의체 출범을 통해 기존 우주항공 클러스터와 차별되는 부산만의 미래항공 클러스터 구축으로 미래항공산업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힘줬다.
박 시장은 “새롭게 창출되는 글로벌 항공부품 시장에서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아시아 허브 클러스터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