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는 환경부의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에 지정됐다고 26일 전했다.
정부는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의 조사·연구와 예방·교육을 위해 2007년부터 전국 국공립 연구기관과 대학, 국공립병원 등을 대상으로 ‘환경보건센터’를 지정·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부산대를 포함해 전국에서 4개 기관이 지정됐으며, 대학으로는 부산대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센터장) 교수와 도시공학과 강정은(부센터장) 교수는 ‘선제적·능동적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보건학과 공학의 융합’을 주요 내용으로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에 선정돼, 2029년까지 5년간 연 2.6억원씩 총 13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게 됐다.
센터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경암공학관에 위치할 예정이다.
부산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제공 △환경유해인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한 환경보건 격차 와 취약성 평가체계 마련 △디지털 환경보건 시스템을 통한 환경보건 취약계층 모니터링·환경영향 피해 예방 △지자체·시민 주도의 체감형 기후와 환경보건 교육 △국가·지자체 단위 기후와 환경보건 정책 지원 △데이터 허브로서 환경보건센터 간 데이터 공유 체계 구축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를 파악하고 빅데이터와 AI 기반 위험도와 취약성 평가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또 웨어러블·IoT(사물인터넷) 기기 등을 활용한 예방·알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디지털 소외지역과 환경보건 취약계층을 위한 오프라인 교육과 환경보건 정보 제공 등을 수행할 방침이다.
이환희 의생명융합공학부 교수는 “이번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는 지역과 전국을 모두 다루는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 대응체계 구축에 정책적 지원을 선도할 것이며,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운영한다”며 “AI·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향후 디지털 기반 기후변화 환경보건 전략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