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참여 주치의·도민에 인센티브 부여
제주도가 전국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를 도입해 도민과 함께 지역 의료체계 혁신에 나선다.
제주도는 24일 제주웰컴센터에서 ‘제주형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실행모델(안) 도민공청회’를 개최했다.
![]() |
24일 제주웰컴센터에서 ‘제주형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실행모델(안) 도민공청회’가 열리고 있다. 제주도 제공 |
시범사업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주치의 자격은 전문과목 상관없이 의사면허를 가진 누구에게나 개방되나, 일정 실무교육을 이수해야 활동할 수 있다.
제도를 이용하려는 도민(65세 이상 노인 및 12세 이하 아동)은 자신의 거주지와 상관없이 사업지역 내 주치의 의료기관을 방문해 1명의 주치의를 선택·등록하면 된다.
건강주치의는 등록 환자에게 △건강 위험 평가 △만성 질환 관리 △건강 검진 △예방접종 △건강교육 △비대면 건강·질병 관리 △방문 진료 △진료 의뢰 △회송관리 △요양·돌봄·복지 연계 등 10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주도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 활성화를 위해 참여 의사와 도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건강주치의로 등록한 의사에게는 비참여 의사 대비 최대 30% 추가 금액 수준의 보상을 제공한다.
등록 주민(환자)의 경우 자신이 선택한 주치의 의료 경로(1차병원→2차병원)를 준수(중기적으로 1년 단위)했을 경우 1인당 연간 2만~5만원이 지원된다.
아울러 건강주치의 지원센터와 지역사회 보건의료팀을 구축해 △주치의 등록환자 현황 관리 △의료기관 비용 산출 관리 △지역사회 자원 파악 및 연계·협력 △시범지역 방문진료 지원 등의 업무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 |
24일 제주웰컴센터에서 ‘제주형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실행모델(안) 도민공청회’가 열리고 있다. 제주도 제공 |
도민공청회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의 중앙 차원의 관심과 협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주도와 김윤·위성곤·문대림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주최했다.
오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통해 ‘제주를 더 건강한 지역, 더 안전한 공동체’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오 지사는 “건강주치의 제도의 핵심은 아프기 전에 병원을 찾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역사회가 구축하는 것”이라며 “제주에 특별히 많이 남아있는 공동체 유산이 건강주치의 제도를 실행하는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전국 최초로 도입한 원격 의료협진 사업 성과를 소개하며 “제주가 만들어가고 있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를 인공지능(AI)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다양한 기술과 접목한다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주도는 이날 공청회에서 제기된 전문가와 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26일 열리는 제주형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추진위원회에서 사업 실행모델에 대한 최종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올해 7월 시범 도입을 목표로 세부 실행계획 수립 절차를 진행하는 등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