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공공·민간 자료 다 모았다…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 완료

부산지역 공공 및 민간 부문 자료의 전주기를 관리하는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이 완전히 구축됐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데이터 기반 행정 선도와 디지털경제 도시 구현을 위한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 완료보고회를 24일 오전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했다.


시는 4월부터 이 통합플랫폼의 시범서비스를 개시한다고 알렸다.


이날 보고회에 전문 분야 자문위원과 금융·부동산·관광 등 다양한 기업의 민·관 데이터 협의체 대표자,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한 관계기관 실무 담당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사업 완료 보고 ▲활용 및 발전방안 ▲전문가 의견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은 산재한 공공·민간의 데이터를 수집·통합해 데이터 전주기를 관리하며 데이터 분석·활용을 통해 데이터 경제가치를 창출하고 과학적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2023년 8월 착수했고 1단계 사업의 경우 2024년 8월 ‘빅(Big)-데이터웨이브’ 포털 구축을 완료해 데이터 개방, 분석·시각화 및 데이터 활용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단계 사업인 데이터마켓, 통합 데이터 지도, 실증과제 서비스(쇼미The부산, 고용이동변화)는 오는 4월부터 시범운영 후 7월부터 본격 운영한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데이터 공유 활용 포털(Big-데이터웨이브) 구축 ▲데이터 수집(14만5000여건) ▲시민 누구나 활용 가능한 분석·시각화 서비스 구축 ▲전국의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통합데이터 지도 제공 ▲민간데이터 유통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마켓 운영 ▲데이터 실증사례 대시보드 구축 등을 추진했다.


민간데이터 공급·수요기업이 참여해 기업 보유 데이터를 유통·거래하며 데이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데이터마켓’을 구축했다.
기업들의 거래 가능한 데이터 상품이 등록되면 오는 7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전국 지자체와 행정안전부 보유 데이터의 소재 정보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통합데이터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전국 데이터 메타정보 13만여건을 연계·제공한다.


데이터 분석 활용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실증사례로 주요 정책, 경제동향 등을 시민의 눈높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시각화했다.
2024년 관심 키워드, 뉴스를 분석한 빅데이터 기반의 시민관심도, 부산지역의 수산물 유통 거래량, 수산물 시세 변동 분석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빅데이터기반 수산물 유통모니터링을 서비스 중이다.


올해는 부산지역의 인구, 소비, 소득, 물가, 산업, 금융, 주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쇼미The부산, 취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 고용이동 등 경기 동향을 확인하는 고용이동변화 분석 대시보드를 서비스한다.


부산시는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Big-데이터웨이브 활성화를 위해 교육, 연계사업, 데이터 생태계 조성 및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또 다양한 분석 실증과 시각화 사례를 확대하고 공무원 데이터인재양성 교육을 추진해 분석·활용 역량을 강화한다.
부산테크노파크의 빅데이터혁신센터 사업과 연계한 공공·빅데이터활용 창업경진대회, DataWeek 행사와 협업을 추진해 플랫폼 활용성을 향상키로 했다.


민관 데이터 협의체(2024년 9개, 2025년 20여개)를 확대 구성하고 데이터마켓 상품 등록 및 거래·유통 참여를 통해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하고 민관 협업 공모사업 추진에도 적극 협업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형 데이터 플랫폼 구축 완료에 따른 사용자 계층별 맞춤형 홍보와 서비스 개선을 위해 오는 4월 중 시민 참여 이벤트를 실시한다.
개선의견, 시민 만족도 참여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의견 수렴으로 시스템 안정화와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예정이며 시 누리집 설문조사에서 참여할 수 있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시정 구현과 지역 데이터 산업 생태계 확산 및 디지털 경제 혁신성장 견인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데이터 기반의 시정정책 수립, 지역 데이터 산업을 활성화해 디지털 경제 도시의 경쟁력을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2410524780319_174278116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