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24km를 이어 수소트램이 달리는 부산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이 나왔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영도구, 중구, 동구, 남구 등 원도심 지역을 15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부산도시철도 부산항선’ 건설 계획을 21일 발표했다.
‘부산항선’은 그동안 경제적 타당성 부족으로 추진이 어려웠던 ‘영도선’과 ‘우암감만선’, 북항재개발 구간에 포함된 ‘씨베이(C-Bay)선’ 등 총 3개 노선을 연계 통합하고 건설과 운영 효율성을 높여 사업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노선은 영도구 태종대를 시작으로 한국해양대학교, 중앙역(1호선), 북항재개발지구, 범일역(1호선), 문현역(2호선), 우암동과 감만동, 용호동 입구를 거쳐 경성대·부경대역(2호선)까지 연결된다.

총연장 24.21㎞ 노선에 41곳의 정거장이 설치되고 총사업비는 7240억원으로 예상된다.
부산의 영도, 북항 등 해안선을 따라 운행돼 차량 시스템은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방식의 무가선 트램이 도입될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항선 건설을 통해 ▲원도심 일대를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중심지로 재탄생시키고 ▲부산항선을 부산이 15분 도시로 발전하는 플랫폼으로 조성하며 ▲트램 역사 중심의 특화 개발을 통해 새로운 도시모델 구축하는 등 3가지 효과를 동시에 기대하고 있다.
첫째 부산항, 북항재개발지구, 국제여객터미널, 부산역 등 글로벌 관문 시설의 연결성을 강화해 해안선을 관광 상품화한다.
또 부산도시철도 1호선 범일역과 2호선 문현역, 경성대부경대역을 연결해 기존 도시철도망과 환승 기능을 강화해 이동 시간을 단축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원도심의 도시 기능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둘째 분절된 원도심 지역에 새로운 교통축으로서 주거, 업무, 쇼핑, 의료, 교육, 문화 등 각종 생활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15분 도시 패러다임을 정착시킬 계획이다.
또 정류장 주변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자전거, 개인 모빌리티와의 연계를 강화해 사람 중심의 도시를 구축할 방침이다.
셋째 부산역, 북항재개발 등과 연계한 대중교통중심개발(TOD)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정거장 중심의 고밀도 복합개발과 보행자 우선 공간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원도심의 상권 활성화, 일자리 창출, 경쟁력 강화를 꾀한다.
부산시는 원도심 주민, 자치구의 의견 등을 반영해 최종 노선계획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향후 제2차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반영한 후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항선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 확충을 넘어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을 견인하는 핵심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부산시민 모두가 어디서나 편리하게 누릴 수 있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을 실현하겠다”고 힘줬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