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권에서 중국 바이오 기술의 급성장을 경계해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중국이 국가 차원에서 생명공학(바이오테크)을 집중 육성하면서 미국을 제치고 글로벌 패권을 장악할 수 있다는 경고가 담겼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집권 이후 식품의약국(FDA) 등 정부 의료·보건 기관 인력 감축에 나서고 있어 신약 개발·승인 등 바이오 역량 약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 연방상원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NSCEB)는 지난 8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중국이 20년간 생명공학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두면서 이 분야에서 빠르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향후 3년간 신속하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중국에 추월당해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최근 중국의 빠르게 성장하는 생명공학·의약 부문을 경계해왔다. 미 하원은 지난해 9월 특정 중국 바이오 기업들을 안보 위협으로 규정해 제재하는 생물 보안법(Biosecure Act)을 통과시켰지만 법안은 상원에서 부결됐다.
중국은 약품 원료와 복제약품 등을 미국에 대규모로 수출하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들도 중국이 개발하고 임상시험까지 마친 약품들을 수입하거나 기술 판권을 사들이면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들의 79%가 중국 기반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의 추월을 따돌리기 위해선 “미 정부가 민간 자본을 확보하고 규제를 간소화해 바이오 기업에 힘을 실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 직원 1만명 해고… “신약 개발·허가 지연될 것”
이같은 우려에도 트럼프 정부는 지출 감축을 목표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벌이면서 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립보건원(NIH) 등의 직원 1만명 해고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FDA에서만 전체 직원의 20%가량인 3500명이 해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력 감축 대상에는 의약품과 백신, 의료기기 등을 감독하는 검사관이나 신제품의 신청서 기록 관리를 담당하는 직원, FDA 주요 부서의 고위 과학자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는 이번 감원이 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심사하는 규제 부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현지에선 “의사를 남기고 간호사, 검사실, 수술실 스태프를 다 해고한 꼴”이라는 질타가 이어졌다.